기사 리스트형 웹진형 타일형 [특별연재] 외국변호사의 기술⑨ 외국변호사의 필살기: 영어 리걸라이팅 [특별연재] 외국변호사의 기술⑨ 외국변호사의 필살기: 영어 리걸라이팅 2009년 한국에 로스쿨 제도가 도입된 후 10여 년 동안 로스쿨 출신 변호사들이 다수 배출되면서 한국 로펌 업계의 지형에 많은 변화가 생겼다. 국제법무를 다루는 한국 로펌의 중요한 한 축을 구성하는 외국변호사들도 이로 인해 미묘한 영향을 받고 있다.로스쿨 도입 전후로 나뉘어필자는 1998년 IMF 외환 위기 시절부터 외국변호사로 한국 로펌에서 일하고 있다. 초기 10여 년간은 사법시험 출신 한국변호사들과 같이 일했다. 로스쿨이 도입된 후 2010년대 초부터는 변호사시험에 합격한 로스쿨 출신 한국변호사들과도 같이 일하고 있다. 25 [특별연재] 외국변호사의 기술⑧ 'No'라고 말할 수 있는 어소 변호사 [특별연재] 외국변호사의 기술⑧ 'No'라고 말할 수 있는 어소 변호사 지난 4월 한 달 동안 미국의 변호사들 사이에서 링크드인(LinkedIn) 등 소셜 미디어를 뜨겁게 달군 사건이 있었다. 미국 대형 로펌인 폴 헤이스팅스( Paul Hastings)의 어느 시니어 어소 변호사가 신참 주니어 어소 변호사들을 교육하기 위해 작성한 오리엔테이션 프레젠테이션용 파워포인트 슬라이드가 유출된 것이다.'Non-negotiable Expectations'이라는 제목으로 로펌 어소 변호사가 반드시 지켜야 하는 10대 업무원칙을 소개하는 이 발표자료에 대해 소셜 미디어에서 열띤 찬반양론이 이어지면서 대 [IP Law] 베트남 특허전략 [IP Law] 베트남 특허전략 특허권 확보와 행사에 있어 베트남이 점차 중요한 국가로 떠오르고 있다. 기업 입장에서는 해외 특허권 확보에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어느 국가에서 특허권을 확보하는 것이 사업적으로 의미가 있을지 판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해당 국가의 관련 시장 규모와 성장성은 어느 정도인지, 경쟁사의 제품 생산 시설이 있는지, 특허권 행사 환경은 어떠한지, 경쟁사의 출원 동향은 어떠한지 등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인구 1억명의 대규모 소비시장베트남은 인구 1억명에 달하는 대규모 소비시장일 뿐 아니라, 미 · 중 [IP Law] 표준필수특허와 소송금지명령 [IP Law] 표준필수특허와 소송금지명령 Ⅰ. 표준필수특허소송에서의 소송금지명령과 방해금지명령표준필수특허에 관한 소송은 전 세계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는 소송의 대표적인 예로, 사안의 중대성이 큰 만큼 전략 다툼도 치열하다. 근래에는 실시료 협상과정에서 소송금지명령(anti-suit injunction, ASI)이 점점 빈번하게 활용되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고, 이에 그치지 않고 그 대응으로 방해금지명령(anti-anti-suit injunction, AASI) 신청 사례도 늘어나고 있다.소송금지명령 및 방해금지명령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등장할 수 있다. 먼 [ESG] IFRS 기후 관련 공시기준의 제정 동향 [ESG] IFRS 기후 관련 공시기준의 제정 동향 전세계는 2015년 파리협정에서 지구의 평균기온 상승을 1.5도로 제한하기 위해 노력하기로 약속하였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는 2018년 보고서에서 1.5도 목표를 달성하려면 "에너지, 토지, 인프라(운송 및 건물 포함), 산업 체계의 신속하고 광범위한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글로벌 온실가스의 배출을 줄이고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을 촉진하는 과정에서 이른바 '파괴적 변화(disruptive change)'가 초래될 수 있다. 투자와 대출을 비롯한 경제적 의사 결정에서 기후변화가 기업의 전략과 [특별연재] 외국변호사의 기술⑤ 외국변호사의 소프트 스킬 [특별연재] 외국변호사의 기술⑤ 외국변호사의 소프트 스킬 앞선 칼럼들에서 분석한 영어 리걸라이팅 및 영문계약 실무능력, 법률번역 기술, 한국법 노하우 등이 한국 로펌의 외국변호사가 실제로 업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구체적인 핵심기술인 '하드 스킬'(직무 기술)이라면, 다른 한편으로 외국변호사가 또 갖춰야 하는 역량이 있다. 타인, 특히 외국인과의 상호 작용 능력을 일컫는 '소프트 스킬'(대인 관계 기술)이다.하드 스킬은 체계적인 훈련에 의해 향상시킬 수 있고 정량적 평가를 할 수 있지만, 소프트 스킬은 단순히 훈련에 의해서만 향상시키기는 어려운 능력이라 정량적 [특별연재] 외국변호사의 기술④ 외국변호사는 왜 한국법을 공부해야 하는가? [특별연재] 외국변호사의 기술④ 외국변호사는 왜 한국법을 공부해야 하는가? 어소 변호사 1년차가 끝나가던 시절, 하루는 한국법 쟁점이 많은 영문 의견서를 작성해 파트너 변호사에게 넘겨준 후 받은 피드백이 좋지 않았다. 한국 어소 변호사의 국문 리서치를 바탕으로 외국 고객사 사내변호사를 위해 영어로 작성한 의견서였다. 파트너 변호사가 빨간 펜으로 잔뜩 첨삭한 초안을 다시 주면서 내가 한국법 이해도가 떨어져 관련 내용을 소화해 온전히 풀어내지 못했다고 신랄하게 비평했다.한국방송통신대 법학과 입학나름 열심히 했는데도 부정적인 피드백을 받으니 별로 기분이 좋지 않았음은 물론이고 당황스럽기도 했다. 어떻게 할지 고 [IP Law] 프랑스 IP 소송에서의 Saisie-Contrefaçon [IP Law] 프랑스 IP 소송에서의 Saisie-Contrefaçon 일반적으로 무형 자산인 지식재산권 침해 사건의 경우 유형 자산의 경우보다 침해 입증에 어려움이 있다. 그 이유는 오늘날 기술이 빠르게 진화하고 있고, 기술 수준 역시 상당히 고도화되고 있으며, 복수 국가들 내 다양한 지역에 위치한 생산 시설을 통해 제품 제조가 이루어지는 등 단순하지 않은 기술 및 복잡한 비즈니스 환경을 꼽을 수 있다. 이러한 근거로 지식재산권 침해시 그 사안의 긴급성 및 효율적인 증거품 수집의 필요성을 고려해 볼 때 '증거 압류'의 중요성은 쉽게 간과될 수 없다.최근 국내에서도 특허침해 소송시 침해 [리걸타임즈 칼럼] 내부신고와 고충처리 메커니즘의 진화 [리걸타임즈 칼럼] 내부신고와 고충처리 메커니즘의 진화 ESG 평가기관으로부터 높은 등급을 받은 회사를 자문한 적이 있다. 그 회사는 그룹사 차원에서 익명성이 보장되는 내부신고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었다. 관련 규정을 만들고 전자적 방법으로 접수된 신고 사건을 체계적으로 조사하는 절차도 갖추었다. 그런데 지방에 위치한 그 회사의 생산공장에 방문하여 현장 직원에게 "직장 내 괴롭힘을 당한 경우 어떻게 신고하시나요?"라고 묻자, 직원은 "신고 절차가 있는지 잘 모르겠고 관리자에게 문제를 제기하기도 애매할 것 같다"고 답변하였다.내부신고 시스템의 활성화를 위한 요건상당수의 회사는 내부신고 또는 [IP Law] 특허권자 스스로 선행발명 공지…진보성 부정 [IP Law] 특허권자 스스로 선행발명 공지…진보성 부정 특허분쟁에서, 특허권자가 특허 출원 전에 스스로 공지시킨 기술에 의해 자신의 특허권이 소멸되는 사례를 종종 볼 수 있다. 최근에도 이러한 이유로 특허가 무효가 된 사례가 있기에 소개한다.대상사건에서 대법원은 특허권자 A사의 "액화 천연 가스 연료의 공급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특허(이하, '대상특허')의 진보성이 부정된다고 판단한 특허법원에 불복한 A사의 상고를 심리불속행 기각하였다(대법원 2021. 11. 11. 선고 2021후10701 판결). 이에 앞서 특허심판원은 대상특허의 일부 청구항 발명에 대해 진보 [IP Law] 프로야구 응원가 사건 [IP Law] 프로야구 응원가 사건 프로야구 구단들이 대중가요를 일부 이용하여 야구경기 중 응원가로 사용한 행위가 대중가요의 작곡가, 작사가들에 대한 동일성유지권, 2차적저작물작성권을 침해하지 않는다는 서울고등법원 판결이 선고되었다(서울고등법원 2021. 10. 21. 선고 2019나2016985 판결). 종래 판결 중엔 음악저작물에 대한 동일성유지권 침해 판단에 있어, 원 저작물의 사소한 개변이 가해지더라도 곧바로 동일성유지권 침해, 2차적저작물작성권 침해에 해당한다고 판단하는 사례들이 있었으나, 이번 판결은 저작물의 성질이나 그 이용의 목적 및 형태 등에 비추어 [IP Law] "프로드러그도 물질특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IP Law] "프로드러그도 물질특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물질특허의 권리범위가 프로드러그(에스테르화)에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한 특허법원 판결이 선고되었다(특허법원 2022. 2. 17. 선고 2020허5832 판결). 종래 제네릭 회사들은 물질특허를 회피하고자 물질특허의 유효성분에 염을 부가 · 변경하거나 용매화물 등으로 변경하였으나 모두 물질특허의 침해에 해당한다고 판단된 바 있다. 이번 판결은 유효성분의 프로드러그가 물질특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는 점을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당뇨병 치료제 1위이 사건 특허발명은 '다파글리플로진'에 대한 물질특허이다. 다파글리플로진은 S [리걸타임즈 IP Law] 중국 개정 상표심사기준의 주요 내용과 대응방안 [리걸타임즈 IP Law] 중국 개정 상표심사기준의 주요 내용과 대응방안 2021년 11월 24일 중국 국가지식산권국(国家知识产权局)은 "상표심사 및 심리표준"(商标审查及审理标准)을 폐지하고, 새로운 상표 심사기준인 "상표심사심리지침"(商标审查审理指南, 이하 "본 지침"으로 지칭)을 발표하였다. 본 지침은 2022년 1월 1일부터 시행되었다.올 1월부터 시행본 지침은 상편 "방식심사 및 사무업무(形式审查和事务工作编)"와 하편 "상표심사심리(商标审查审理编)"로 구성되며, 그중 실체심사와 관련된 하편의 주요 개정 사항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지난 2019년 4월 23일 제4차 상표법 개정안이 통과됨에 따라 [리걸타임즈 IP Law] 유럽단일특허와 통합특허법원 [리걸타임즈 IP Law] 유럽단일특허와 통합특허법원 지난 수년간 유럽에서 논의된 통합특허법원 협정(Agreement on the Unified Patent Court; UPCA)이 빠르면 올해 중반에, 늦으면 내년 초에 발효될 예정이다. 이에 따르면 유럽연합(EU) 중 UPCA를 비준한 국가들에서 단일한 효력을 갖는 유럽단일특허가 도입되고, 이 국가들에서 유럽 특허 분쟁 사건을 관할하는 통합특허법원이 설립된다. 2022년 3월 기준, UPCA를 비준한 국가는 17개국이다.17개국에서 비준통합특허법원은 참가국들 내에서 기존의 유럽특허 및 새로운 유럽단일특허의 침해소송, 무효소송 및 기 [리걸타임즈 IP Law] 저명상표냐 보통명칭이냐 [리걸타임즈 IP Law] 저명상표냐 보통명칭이냐 '보톡스(BOTOX)'는 글로벌 제약회사 Allergan Inc.(이하, '알레간')가 개발한 주름 치료 등에 사용되는 주사제의 상표명이다. 보툴리눔 독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이 주사제는 최초에 안검경련 등 근긴장 이상 치료에 사용될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나, 보툴리눔 독소가 주름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미용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보톡스'는 피부 미용에 관한 관심과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국내외적으로 선풍적 인기를 구가하게 되었고, 여러 경쟁사들의 주사제 제품 개발 [리걸타임즈 IP Law] 독일 특허법의 개정과 특허소송에의 영향 [리걸타임즈 IP Law] 독일 특허법의 개정과 특허소송에의 영향 독일 정부는 지난 수년간의 특허법 개정 논의를 마무리하고 작년 8월 17일에 개정된 특허법을 공포하였다. 개정법은 침해소송과 무효소송의 이원화 체계가 가지는 시간적 격차(Injunction gap)를 동기화하는 규정(제83조), 특허소송에서 제출되는 자료에 대한 영업비밀보호 규정의 적용(제145a조) 등 실무상 중요한 변경을 포함하고 있으며, 가장 주목받는 것은 특허권자의 침해금지청구권을 예외적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규정(제139조 제1항)을 도입한 것이다.작년 8월 개정법 공포제83조는 금년 5월 1일에 시행될 예정이 [리걸타임즈 IP Law] 문서제출명령 불이행에 배상청구액 전액 인정 [리걸타임즈 IP Law] 문서제출명령 불이행에 배상청구액 전액 인정 2021년 11월 3일, 중국 최고인민법원(이하 '최고법원')은 특허권자(스위스 Synthes GmbH, 이하 '원고')가 제기한 특허침해소송 2심에서 다보회사(大博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등(이하 '피고')의 문서제출명령 불이행에 따른 입증방해 책임을 인정하여 특허침해금지 및 원고가 청구한 배상액 전액 2천만 위안(한화 약 37억여원)과 합리적 지출비용 10만 위안(한화 약 1,900만원)을 모두 인정하는 종심 판결(2021 最高法知民终148号)을 내렸다. 본건에 적용된 문서제출명령은 "전리 [리걸타임즈 공정거래] 정보교환 담합과 클린팀 합의 [리걸타임즈 공정거래] 정보교환 담합과 클린팀 합의 2021. 12. 30. 시행 예정인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이하 "공정거래법") 및 2021. 6. 4. 입법예고된 공정거래법 시행령 전부개정안은 사업자가 가격, 생산량, 상품 · 용역의 원가, 출고량, 재고량, 판매량, 상품 · 용역의 거래조건, 대금 · 대가의 지급조건과 관련된 정보를 주고받기로 합의하는 행위를 부당한 공동행위의 유형으로 추가했다(개정 공정거래법 제40조 제1항 제9호, 공정거래법 시행령 전부개정안 제43조).2021년 말 시행 예정이와 관련하여 공정거래위원회는 2021. 11. 3. 「사업자간 [리걸타임즈 IP Law] 미국 무효심판(IPR), 이것만은 알고 하자 [리걸타임즈 IP Law] 미국 무효심판(IPR), 이것만은 알고 하자 한국 특허소송 경험이 있는 회사는 미국에서 특허 침해로 피소되면 한국무효심판과 유사한 Inter Partes Review(IPR)를 방어책으로 고려한다. IPR은 직역하면 '당사자계 검토'인데 국내에서는 통상 '미국 무효심판'으로 이해되는 제도다.IPR은 미국특허청 내 특허심판원(PTAB; Patent Trial & Appeal Board)이 전담하는데 무효율도 비교적 높은 편이다. 하지만 절차적 특성에 대한 이해 없이 한국무효심판하듯이 접근하면 실책으로 이어지니, 다음과 같은 특성에 유의하자. 우선 I [리걸타임즈 IP Law] 의료기기 업체를 위한 IP 보호전략 [리걸타임즈 IP Law] 의료기기 업체를 위한 IP 보호전략 한국 의료기기 산업의 성장세가 심상치 않다.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의 최근 보도자료에 따르면, 2020년 국내 의료기기 생산규모는 전년 대비 39.5%가 성장한 10조 1,358억원으로, 이는 최근 5년간(2016년~2020년)의 연평균 성장률인 16.0%를 훌쩍 뛰어넘는 수치이다. 이러한 급성장의 배경에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한국산 코로나19 진단용 키트의 생산이 급격히 늘어난 면도 있겠으나, 한국산 의료기기에 대한 우수성과 신뢰성이 인정받았기에 가능한 것이라 할 것이다. 하지만 앞으로도 이러한 성장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기존 12345678910다음다음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