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 "중복 지급 규정 없으면, 장해 · 사망보험금 중 하나만 받을 수 있어"
[보험] "중복 지급 규정 없으면, 장해 · 사망보험금 중 하나만 받을 수 있어"
  • 기사출고 2020.05.03 08:2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지법] 장해연금 받은 후 낸 국가 상대 사망보험금 청구 기각

하나의 보험계약에서 장해보험금과 사망보험금을 함께 규정하고 있는 경우 중복 지급을 인정하는 별도의 규정이 없는 한 그중 하나만 지급받을 수 있다는 판결이 나왔다. 장해보험금은 생존을 전제로 한 것이어 사망보험금과 양립할 수 없다는 것이다.

울산지법 구남수 판사는 4월 29일 2004년 사다리에서 추락해 사지가 마비되는 중상을 입은 후 2019년 패혈증으로 사망한 A씨의 부인과 두 자녀가 "평일재해사망보험금 3000만원에서 이미 지급받은 기납입보험료 3,878,400원을 공제한 나머지를 지급하라"며 국가를 상대로 낸 소송(2019가소209621)에서 이같이 판시, 원고들의 청구를 기각했다.

A씨는 2004년 8월 25일 오전 10시 10분쯤 용접작업을 마치고 사다리를 타고 내려오다가 탱크에 상체를 부딪쳐 바닥에 추락하는 바람에 다발성 두개골 골절과 뇌부종, 요도의 손상 등을 입은 후 이러한 상병으로 요양승인을 받았다. 2018년 3월 31일자로 요양종결 후 장해연금을 수령해 오던 중 2019년 3월 23일 요로감염에 의한 패혈증 쇼크로 A씨가 사망하자 A씨의 부인 등이 "A씨가 사고로 인해 사지마비로 15년 동안 생활하던 중 사지마비가 원인이 되어 요로감염이 발병하였고, 요로감염으로 14일간 치료받던 중 패혈증이 발생하여 사망하였으니, 결국 A씨는 재해로 사망에 이른 것"이라며 국가를 상대로 평일재해사망보험금의 지급을 요구하는 소송을 냈다.

A씨는 이에 앞서 사고가 나기 전인 2003년 3월 국가와 만기 20년의 재해안심보험(만기환급형) 계약을 체결하였는데, 이 계약에 따르면 평일에 발생한 재해로 인하여 사망하였을 때 3000만원을 지급하고, 재해로 인하여 1급 내지 2급의 장해상태가 되었을 때는 1급의 경우 매년 500만원을 총 10회 지급하도록 되어 있고, 예정이율로 할인하여 일시금으로 지급받을 수도 있다. 국가는 A씨가 살아있을 때인 2019년 6∼7월 A씨의 장해를 1급으로 인정하여 재해장해연금 일시금으로 세 차례에 걸쳐 모두 3970여만원을 지급했다.

구 판사는 대법원 판결(2011다45736)을 인용, "하나의 보험계약에서 장해보험금과 사망보험금을 함께 규정하고 있는 경우, 사망보험금은 사망을 지급사유로 하는 반면 장해보험금은 생존을 전제로 한 장해를 지급사유로 하는 것이므로, 동일한 재해로 인한 보험금은 당해 보험계약에서 중복 지급을 인정하는 별도의 규정을 두고 있는 등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중 하나만을 지급받을 수 있을 뿐이라고 보아야 한다"고 전제하고, "이 사건에서 피고는 A씨의 장해상태를 1급으로 인정하여 2009. 6. 29.부터 같은해 7. 3. 사이에 재해장해연금 일시금으로 총 39,752,650원을 지급하였으므로, 원고들은 위 연금 수령 후 A씨가 사망하였다 하더라도 동일한 재해를 원인으로 하여 평일재해사망보험금을 중복하여 지급받을 수는 없다"고 밝혔다. 따라서 "장해연금을 지급받은 이후에도 사망보험금을 중복 지급받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하여 나온 원고들의 주장은 더 따질 것 없이 이유 없다"고 판시했다.